정의 함수를 파라미터처럼 사용하는 것. 기본 문법 function logText(text: T): T { console.log(text); return text; } logText('hi'); ❗️유니온 방식을 이용한 제네릭 타입의 문제점 function logText(text: string | number) { console.log(text); return text; } const a = logText('hi'); a.split(''); logText(10); 코드를 위와 같이 작성했을때 split은 에러가 난다. 에러코드를 살펴보자면 아래와 같이 string에서는 가능하지만 number 형식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구가 나타나게된다. 제네릭의 타입추론에서의 이점 확실하게 어떤 타입인지 선언해주기때..